KRX 금현물 투자하는 방법(+계좌개설, 세금)
지금 금 투자 고민 중이신가요? 금 시세가 하루가 다르게 솟구치는 지금, 오늘이 기회입니다. 특히 KRX 금현물 거래는 정부가 관리하고, 증권사를 통해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어 일반 투자자에게도 매우 매력적인 방식입니다. 지금부터 그 방법을 알기 쉽게 알려드릴게요.
1. 금현물 계좌 개설 및 매매
-
증권사 계좌 개설 → KRX 금현물 거래 신청(금현물계좌 별도 생성)
-
증권사 앱 메뉴에서 “KRX 금시장/금현물” 선택 → 종목(1kg/100g) 조회
-
1g 단위로 원하는 수량·가격 입력해 매수/매도
-
실물 인출을 원하면, 증권사 지점에서 100g 또는 1kg 단위로 인출 요청
-
인출 시 부가세 10% + 인출 수수료 발생, 규격별 인출 단위 유의.
2. 거래 시간·수수료 조회
-
수수료: 증권사별 상이(대개 0.3% 내외가 많음)
실물 인출 시 인출 수수료(바당 약 2만원 내외) + 부가세 10%.
3. KRX 금현물 세금
KRX 금현물의 가장 큰 장점은 장내 거래는 부가가치세 면제·거래차익 비과세(ETF/골드뱅킹과 차이)입니다. 다만 실물로 인출할 때만 부가세 10% 부과됩니다.-
보관: 한국예탁결제원(KSD) 예탁 보관(증권계좌 내 보유).
-
시세 확인: KRX 데이터 시스템에서 실시간 시세·종목별 가격 확인 가능.
4.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KRX 금현물은 환헤지인가요?
A. 별도 환헤지 상품이 아니라 국내 금 가격을 따릅니다. 국내 금 가격은 국제 금시세 × USD/KRW 환율 등으로 형성되어 환율 영향이 반영됩니다. (ETF의 경우 상품명에 (H) 표기 시 환헤지형입니다)
Q2. 세금이 정말 없나요?
A. 장내 매매차익은 비과세, 거래 시 부가세 면제가 맞습니다. 다만 실물 인출 시에만 부가세 10%가 붙습니다.
Q3. 보관비가 드나요?
A. 예탁보관은 KSD 체계로 관리되며, 증권사별로 보관·계좌 이용료 정책이 다를 수 있어 MTS 공지를 확인하세요. (일부 증권사는 소액 이용료를 명시하기도 합니다)
댓글
댓글 쓰기